임종 후 부고문자 보내는 법 ? 어떻게 작성해야 하나? 어떻게 보내지?
2025년 최신 부고문자 보내는 법
2025년 최신 부고 문자 보내는 법(모바일)을 예시와 함께 알려드립니다.
소중한 이의 마지막 길, 정중하고 정확하게 전하는 방법
갑작스러운 이별 앞에서 우리는 슬픔에 잠기게 됩니다. 하지만 동시에, 이 소식을 함께 나누고 고인을 애도하고 싶은 지인들에게 부고를 전해야 하죠.
이때 ‘부고 문자’는 짧은 시간 안에 많은 이들에게 고인의 소식을 알릴 수 있는 가장 빠르고 정중한 방법입니다. 하지만 막상 쓰려고 하면 어떤 표현이 맞는지, 어떻게 보내야 할지 막막하신 분들도 많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2025년 최신 부고 문자 작성법과 전송 팁, 상황별 예문까지 정리해드릴게요.
* 더추모 이용 시 담당 장례지도사님이 모바일 부고 문자 발송, 영정사진 등 장례준비와 관련된 모든 사항을 친절하게 도와드립니다.
* 내 인생에 장례가 처음이라면 후회없는 장례를 치르기 위하여 ‘더추모 첫 장례 가이드’ 을 추천드려요.
부고 문자, 왜 중요할까요?
부고 문자는 단순한 사망 알림이 아니라,
고인을 기리고, 유족의 뜻을 전하며, 조문 방법을 안내하는 소통 수단입니다.
특히 직접 조문이 어려운 요즘, 모바일 부고 문자로 장례 일정과 방식에 대한 정보를 정확히 전달하는 것이 더 중요해졌어요.
간결하면서도 정중한 문장, 필요한 정보를 빠짐없이 담는 것이 핵심입니다.
부고 문자 작성 시 꼭 포함해야 할 내용
부고 문자는 형식보다 정보 전달의 명확성이 더 중요합니다.
다음 항목들을 체크하면서 작성해보세요.
1. 고인의 성함과 상주와의 관계
-
예: 저희 아버지 故 홍길동 님께서
2. 별세 일시
-
언제 돌아가셨는지 (날짜와 요일)
3. 빈소 정보
-
병원명, 장례식장 이름, 호실
4. 발인 일시
-
예: 6월 12일 오전 7시
5. 장지 정보 (선택)
-
공원묘원, 봉안당 등
6. 상주 이름과 연락처
-
문의가 필요할 경우를 대비
7. 조문 관련 안내
-
가족장, 비대면 조문, 조의금 계좌 안내 등
부고 문자 예문 모음 (상황별)
1. 가장 일반적인 부고 예문
[부고] 삼가 알려드립니다.
저희 아버지 故 홍길동 님께서 6월 10일 별세하셨기에 삼가 알려드립니다.
● 빈소: 서울OO병원 장례식장 3호실
● 발인: 6월 12일 오전 7시
● 장지: 하늘공원묘원
● 상주: 홍길순 010-1234-5678 슬픔에 잠긴 유족에게 따뜻한 위로 부탁드립니다.
2. 가족장 또는 간소하게 치르는 경우
[부고] 저희 어머니 故 김영희 님께서 6월 9일 별세하셨기에 알려드립니다. 코로나19 및 유족의 뜻에 따라 조용히 가족장으로 모시고자 합니다. 직접 찾아뵙지 못하는 점 너그러이 양해 부탁드립니다.
● 빈소: 서울OO병원 2호실
● 발인: 6월 11일 오전 8시
● 상주: 박철수 010-0000-0000
3. 직장 동료/지인에게 보내는 경우
[부고] 000팀 000 대리님의 부친 故 홍길동 님께서 6월 10일 별세하셨기에 삼가 알려드립니다.
● 빈소: 서울OO병원 장례식장 3호실
● 발인: 6월 12일 오전 7시
● 문의: 000 대리 010-0000-0000
4. 종교적인 표현이 포함된 예문 (기독교)
[부고] 샬롬, 000교회 000 성도님께서 6월 8일 주님의 부르심을 받아 소천하셨기에 알려드립니다.
● 입관예배: 6월 9일 오후 7시
● 빈소: 서울OO병원 장례식장 1호실
● 발인: 6월 10일 오전 6시 함께 기도해 주시고 유족에게 위로 부탁드립니다.
● 알리는 이: 000 (010-0000-0000)
부고 문자, 어떻게 보내야 할까요?
1. 문자(SMS/MMS)
가장 보편적인 방법. 휴대폰 번호만 알면 누구에게나 보낼 수 있습니다.
단, 이미지나 지도를 포함하려면 MMS로 전송해야 해요.
2. 카카오톡 (개인/단체/알림톡)
카카오톡을 활용하면 빠르게 부고를 전달할 수 있고, 장례식장 위치나 이미지도 함께 보낼 수 있어요.
단체방 초대는 예의를 갖추어 신중히 보내는 것이 좋습니다.
3. 부고 알림 플랫폼 활용
모바일 장례상조 플랫폼에서는 부고 작성부터 온라인 빈소 생성, 조의금 전달, 약도 전송까지 한 번에 처리할 수 있어요.
정확하고 체계적인 안내가 필요할 때 특히 유용합니다.
부고 문구, 이렇게 다듬으면 좋아요
피해야 할 표현 |
추천 표현 |
돌아가셨습니다 |
별세하셨습니다 / 소천하셨습니다 (기독교) / 입적하셨습니다 (불교) |
장례식입니다 |
삼가 알려드립니다 |
너무 슬픕니다 |
차분하고 담백한 문장 중심으로 구성 |
예의와 사실 중심의 문장으로 고인을 정중하게 기리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마지막으로
부고 문자는 고인을 기리는 첫 마음이 담기는 메시지입니다.
너무 어렵게 생각하지 마시고, 꼭 필요한 정보와 예의를 담아 간결하고 정중하게 작성해보세요.
혼자 준비하기 어려우시다면 전문 상조 서비스나 부고 플랫폼의 도움을 받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무거운 시기일수록, 주변의 따뜻한 위로와 도움을 받아도 괜찮습니다.
이 글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마음 깊이 애도와 위로를 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