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사랑하는 이를 마지막으로 배웅하는 장례와 관련하여 우리나라 평균 장례비용을 장례식장 비용, 상조비용, 화장장비용, 장지비용 등으로 구분하여 2025년 기준 추정치를 포스팅하겠습니다.
2025년 기준 장례비용 평균 금액은?
약 1200~1400만원 수준으로 추정할 수 있습니다.
장례상조 혁신기업 (주)더추모 후불제상조
1. 평균 장례비용 (2025년 기준 추정 장례비용 평균)
= 장례식장 빈소이용료 + 장례식장 기타 시설이용료 + 조문객 식사비용 + 상조비용 + 장지비용
참고로 상기 비용은 장례비용 평균이므로 실제로는 서울 수도권등 고가 장례식장 이용 시 이보다도 1.5~2.5배 이상 나오는 경우도 많습니다.
-
2023년 한국소비자원의 조사에 따르면 평균 총 장례비용은 약 1,380만 원이었습니다.
-
2023년 말 고물가 반영 및 서비스 확대 등으로 평균 1,200만 원 수준으로 내려온 경우도 있었습니다.
-
최신 상조업계 및 장례식장 업계에서는 약 1,443만 원이라는 수치를 제시합니다.
→ 따라서 2025년 기준 평균 장례비용은 약 1,200만 원에서 1,400만 원 사이로 추정해 보는 것이 가장 현실적인 것으로 판단됩니다.
2. 평균 장례식장 비용 중 빈소 사용료
-
전국 평균 장례식장 빈소 사용료는 약 57만 원/일, 3일 기준으로 약 170만 원 정도 소요됩니다
-
수도권 일부 대형 장례식장, 특히 대학병원에서는 1일에 500만 원 이상까지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삼성서울병원에서는 빈소 면적에 따라 1일 기준 72만 원(36평)에서 450만 원(170평)까지 다양한 가격대가 존재합니다.
→ 일반 식장 평균 57만 원/일, 대학병원 특실은 수백만 원/일 수준입니다.
기타 시설이용료 및 조문객 수에 따른 식대, 제단비용 등 까지 고려한 장례식장 비용은 (주)더추모 웹에서 전국 모든 장례식장 비용이 실시간으로 바로 확인 가능합니다.
** 전국 제휴 장례식장의 경우 더추모 장례지도사님과의 상담을 통하여 예약 전 제휴 할인이 가능한 지 반드시 확인하여주세요 [ 24시 전화상담 1555-0869 ]
3. 평균 대학병원 장례식장 비용 중 빈소 사용료
-
을지대병원 특실 기준으로 1일 180만~270만 원, 일반실은 35만~98만 원 수준입니다
-
삼성서울병원의 경우 앞서 언급한 가격 범위에 포함되며, 고가 빈소 이용 시 하루 100만~400만 원대의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대학병원 기준 1일 평균 100만 원 이상, 특실은 200만~300만 원 이상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2025년 전국 장례식장 현황 및 장례식장 선택가이드 바로가기 >>>>>
4. 평균 상조비용 (장례용품 및 상조서비스 패키지)
-
선불제상조회사 패키지는 수의, 관, 의전, 인력, 화장, 봉안 등 포함하여 약 500만 원내외 수준으로 판단되며 그 이상도 많이 있습니다.
-
후불제상조 패키지에서는 맞춤형 방식으로 실제 이용 항목에 따라 지불하도록 합니다
→ 일반 선불제상조회사 이용 시 400만~600만 원대, 후불제상조 맞춤형 상품 이용 시 200만~300만 원대로 낮출 수 있습니다. ( 100만원대 이하 초저가용 후불제상조는 가급적 이용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장례식 첫날부터 up-selling 이 시작됩니다.)
** 장례내내 함께 동행하시는 장례지도사 1명의 인건비만 해도 3일간 60만원임을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장례비용 요약 정리 (표)
구분 |
2025년 기준 비용 (원) |
평균 장례비용 (총합) |
약 1,200만 ~ 1,400만 원 (식대, 제단, 시설이용료, 장지 등 모든 비용 포함) |
장례식장 비용 (일반장례식장 빈소이용료) |
약 57만 원 × 3일 ≈ 170만 원 |
장례식장 비용 (대학병원 빈소이용료) |
하루 100만 원 수준, 특실 200만~300만 원대 가능 |
상조 패키지 비용 |
선불제상조 400~600만원대이상, 후불제상조 200~300만원대 |
-
지역, 장례기간, 빈소 면적, 음식, 추가 서비스 등에 따라 비용 편차가 매우 큽니다.
-
e하늘 장사정보시스템을 통해 실제 지역 장례시설 사용료, 화장료, 봉안료 등을 직접 비교해볼 수 있습니다
-
(주)더추모 장례식장 비용 견적 알아보기로 전국 장례식장 장례비용을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니 많은 이용바랍니다. (www.thechoomo.co.kr)
전국 장례식장 장례비용 확인하기 >>>>
5. 화장장 및 납골당 비용 비교
1) 화장 비용 (2025년 기준)
-
공설 화장장 (지자체 운영)
-
원가 약 33만 원 중 주민에게는 5만~15만 원 수준으로 제공됨, 서울시립승화원은 서울시 거주자 기준 약 12만 원, 타 지자체 거주자는 100만 원 이상 가능
-
최근 전국 평균 통계, 한국의 화장률은 2025년 기준 90% 이상
-
고인이 거주하던 지자체 관내기준 화장장은 저렴하며 타지역 이용 시 비용 증가
→ 공설 화장장은 거주지에 따라 수만 원 대부터 최대 100만 원대, 타지 이용 시 비싸질 수 있음.
관내 화장장이 없는 경우에는 지자체에서 보조금이 나오는 지 확인 바랍니다.
2) 납골당․봉안당 비용
공설 납골당/자연장지 (지자체 기준)
-
단장형 관리비 포함 평균 약 1,600,000원 수준
-
합장형은 평균 1,900,000원 수준
사설 봉안당 또는 수목장
-
개인단 기준: 350만~800만 원 (단수에 따라 상승, 최고 부부단 1,000만 원 이상)
-
연간 관리비 약 5만 원, 평생 관리비 옵션 약 100만 원
서울 근교 사설 봉안당
-
인기 ‘로열단’ 기준 일반실은 600만~800만 원 수준
-
수목장 가족목 분양은 1,000만 원 이상 가능
지역별 납골당 및 봉안당 비교 요약
지역 / 유형 |
비용 범위 (원) |
비고 |
공설 납골당 (공공시설) |
수만 원 ~ 수백만 원대 |
거주지 기준 저렴, 관리비 저렴 |
지자체 납골당 |
약 1,593,000원 (15년 기준) |
15년 분납 기준, 관리비 포함 |
사설 개인단 |
350만~800만 원 |
층수 따라 차이 크게 발생 |
사설 부부단 |
800만~1,200만 원 이상 |
개인단보다 높음 |
서울 근교 사설 봉안당 |
600만~800만 원 |
로열단 기준 일반실 |
수목장 (가족목 기준) |
1,000만 원 이상 |
고가 분양 유형 |
화장 및 납골당 종합 요약
-
화장 비용은 지자체 운영 공설화장장 기준으로 수만원~수십만원 대, 거주지 외 타 지역 이용 시 수백만 원대로 확대될 수 있음.
-
납골당(봉안당) 비용은 공설 기준으로 저렴하지만 공간 제한, 순번 대기 등이 있을 수 있음.
-
사설 납골당·수목장은 선택 편의는 높지만 수백만~천만 원대 비용 발생.
-
지역별로 시설·관리 방식에 따라 비용 차이가 크므로 글 작성 시 신뢰도 높은 지방별 실례나 단가 사례를 포함하면 좋습니다.
-
e하늘 장사정보시스템 활용해 지자체별 화장예약, 봉안시설 조건과 비용을 직접 비교하실 수 있습니다.
좀더 자세하게 구체적으로 알고 싶다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