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추모

2025년 최신 전국 장례식장 정보 안내 및 장례식장 선택 가이드

2025년 우리나라 전국 장례식장은 지역별로 몇 곳이나 될까요? 서울 수도권에 인구가 집중되어 있으니 장례식장도 그럴까요? 2025년 최신 전국 장례식장 정보 및 선택 가이드를 포스팅하겠습니다.

우선 장례식장의 종류는 어떻게 구분되어지며

유가족에게는 가장 중요한 사항인, 어떤 장례식장을 어떤 기준으로 선택하여야 할까요?

장례식장은 사설, 공설, 대학병원장례식장으로 구분되며 또한 전문, 병원부설 등으로도 구분되어집니다.

각 장례식장은 각각 빈소 수, 안치 가능 건수, 기타 시설 보유 유무, 주차 가능 건수 등이 다른데 2025년 보건복지부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중심으로 알아보겠습니다.


🏡 우리나라 전국 장례식장 정보를 한눈에

장례식장은 사랑하는 가족을 떠나보내는 마지막 공간이기에 신중한 선택이 필요합니다.

고인을 편안하게 모시고 유가족과 조문객이 함께 애도하며 마지막 인사를 나누는 곳이기에, 어떤 장례식장을 선택하느냐는 장례의 의미와 분위기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에는 장례식장이 얼마나 있고, 어떤 기준으로 선택하는 것이 좋을까요? 보건복지부 자료와 최근 정보를 기반으로 전국 장례식장 현황과 선택 팁을 정리했습니다.

1️⃣ 전국 장례식장 수는 얼마나 될까요?

보건복지부의 2025년 최근 기준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국 장례식장 수는 총 1,103곳에 달합니다. 전국 각지에 고인을 모실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이처럼 지역별로 장례식장 수에 차이가 있으며, 특히 인구가 많은 수도권과 영남, 호남 지역에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구분

개수

빈소수

안치가능수

비중

전문 장례식장

504

2,370

3,804

45.7%

병원부설 장례식장

599

2,736

5,074

54.3%

합계

1,103

5,106

8,878

100.0%

(출처 보건복지부)

2️⃣ 공설, 사설, 대학병원 장례식장 비율은?

우리나라 장례식장은 운영 주체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사설 장례식장: 개인이 운영하는 곳으로, 전국 장례식장의 대부분을 차지합니다. 1,026곳으로 전체의 약 93%에 해당합니다. 다양한 규모와 시설,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공설 장례식장: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하는 곳으로, 77곳이 있습니다. 해당 지역 주민에게는 이용료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경우가 많아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 병원/대학병원 장례식장: 병원 내에 위치한 곳으로, 59곳이 운영 중입니다. 전체의 약 5%를 차지하며, 병원에서 임종하신 경우 이동의 편리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대부분이 사설 장례식장이지만, 공설이나 병원 장례식장도 각기 다른 특징과 장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선택 시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구분

개수

빈소수

안치가능수

비중

공설

77

450

891

7.0%

사설

967

4,169

6,986

87.7%

대학병원

59

487

1,001

5.3%

합계

1,103

5,106

8,878

100.0%

(출처 보건복지부)

3️⃣ 어떤 장례식장을 선택해야 할까요? 장례식장 선택 가이드

장례식장을 선택할 때는 단순히 규모나 비용뿐만 아니라 여러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최근의 장례 문화 변화와 온라인 플랫폼의 정보 등을 참고하여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살펴보는 것이 좋습니다.

  • 위치와 접근성이 중요합니다.

  • 유가족과 조문객이 방문하기 편리한 위치인지가 중요합니다. 대중교통 이용 편의성, 자가용 이용 시 접근성, 그리고 충분한 주차 공간 확보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주차 가능 대수는 조문객의 편의와 직결되는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 규모 및 수용 능력 (빈소 수, 안치 가능 건수)도 감안하여야 되겠죠.

  • 예상 조문객 수와 가족 규모에 맞춰 적절한 크기의 빈소가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빈소 수가 많을수록 선택의 폭이 넓고 조문 일정 조율이 용이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안치 가능 건수는 장례식장의 수용 능력을 보여주며, 갑작스러운 상황에서도 고인을 모실 수 있는 여유가 있는지를 가늠할 수 있는 지표가 됩니다.

  • 빈소외 시설과 서비스도 중요한 사항입니다.

  • 빈소 외에 유족 대기실, 식당, 매점, 휴게 공간 등 부대시설이 잘 갖춰져 있는지 확인합니다. 특히 염습실, 참관실 등 장례 절차에 필요한 시설 유무도 중요합니다.

  • 제공되는 서비스의 내용(입관, 발인, 이송 등)과 품질, 장례지도사의 전문성, 직원들의 친절도 등 전반적인 서비스 수준을 고려해야 합니다. 공설 장례식장은 합리적인 비용이 장점인 반면, 사설이나 대학병원 장례식장은 시설이나 서비스 면에서 차별화된 점을 제공하기도 합니다.

  • 비용의 투명성도 물론 중요하죠

  • 빈소 사용료, 식대, 장례 용품 비용 등 전체적인 장례 비용 구조를 사전에 명확하게 확인하고 비교해야 합니다. 최근에는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투명한 가격 정보를 제공하는 곳들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 종교 및 문화적 요구 충족 등도 알아보셔야 합니다.

  • 고인이나 가족의 종교 또는 문화적 배경에 따라 특정 의식이나 시설이 필요한 경우, 해당 장례식장에서 이를 수용할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구분

개수

빈소수

안치가능수

비중

강원특별자치도

54

216

371

4.9%

경기도

186

951

1,737

16.9%

경상남도

120

479

802

10.9%

경상북도

122

468

756

11.1%

광주광역시

26

150

232

2.4%

대구광역시

56

247

434

5.1%

대전광역시

19

122

212

1.7%

부산광역시

55

294

506

5.0%

서울특별시

61

446

923

5.5%

세종특별자치시

6

30

48

0.5%

울산광역시

17

85

168

1.5%

인천광역시

35

216

389

3.2%

전라남도

130

437

662

11.8%

전북특별자치도

74

337

540

6.7%

제주특별자치도

12

59

142

1.1%

충청남도

76

329

545

6.9%

충청북도

54

240

411

4.9%

합계

1,103

5,106

8,878

100.0%

(출처 : 보건복지부)

장례식장 선택 관련 정보는 아래 기 포스팅한 내용을 보시면 자세하게 안내되어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thechoomo/223892059915

🔎 장례식장 정보 확인 방법

장례식장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들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 보건복지부 및 지방자치단체 홈페이지 공식적인 장례식장 현황 및 기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온라인 장례정보 플랫폼 최근에는 더추모와 같은 온라인 플랫폼에서 전국 장례식장의 위치, 규모, 시설 정보, 비용 비교, 온라인 예약 및 상담 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유가족이 보다 편리하게 정보를 얻고 선택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글을 마무리하며

장례식장은 단순한 건물이 아니라, 사랑하는 사람과의 마지막 추억을 정리하고 영원한 안식을 기원하는 의미 깊은 공간입니다.

갑작스러운 슬픔 속에서 모든 것을 결정하기 어렵겠지만, 미리 정보를 파악하고 가족들과 충분히 소통하며 신중하게 선택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위에 안내해 드린 전국 장례식장 현황과 선택 가이드가 고인을 잘 모시고 남은 가족들이 평안하게 애도할 수 있는 최적의 장소를 찾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힘든 시기, 부디 서로에게 힘이 되어 잘 이겨내시기를 진심으로 기원합니다.